1 분 소요

WCAG

WCAG는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의 약자로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충족해야 하는 기준을 정의해 장애, 비장애의 사용자가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준수해야 하는 지침이다

WCAG는 크게 네가지의 대분류로 나뉠 수 있다

  • 인식의 용이성(Perceivable)
  • 운용의 용이성(Operable)
  • 이해의 용이성(Understandable)
  • 견고성(Robust)

1. 인식의 용이성

사용자가 웹에서 제공하는 모든 콘텐츠를 모두 동등하게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(웹사이트를 이루는 요소들을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해야한다)

  • 모든 콘텐츠는 대체할 수 있는 수단을 가져야 한다
    • 이미지 또는 오디오 등에 대체텍스트를 제공
    • 식별이 용이하도록 색상을 사용하거나 오디오제공과 같은 시각적, 청각적인 요소를 제공

2. 운용의 용이성

사용자가 웹 사이트의 인터페이스 구성요소 및 네비게이션을 모두 동등하게 운용할 수 있어야 한다

  • 키보드를 통해서 모든 요소에 접근가능해야 한다
  • 키보드를 통해 만료시간을 조정하거나, 컨텐츠의 동작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
  • 발작 및 신체적 반응을 일으키지 않도록 설계해야 한다(초당 3회 번쩍이는 콘텐츠를 포함하지 않도록 한다)
  • 키보드 이외의 다양한 입력장치를 통해 쉽게 조작할 수 있어야 한다

3. 이해의 용이성

사용자가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요소들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

  • 가독성이 좋아야 한다
  • 생소한 단어, 약어, 독해, 발음에 대한 대응책을 갖춰야한다
  • 예측가능한 방식으로 동작해야 한다(사용자가 생각하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동작해야 한다)

4. 견고성

사용자가 웹 사이트를 이용하는데 기술의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 (다양한 환경에서 동작하고 오류가 없어야 한다)

  • 웹 사이트는 다양한 환경에서도 동일하게 동작되어야 한다
  • 웹사이트를 구성하는데 문법적인 오류가 없어야 한다
    • 웹 사이트를 구성하는 태그들의 시작태그, 종료태그가 온전해야 한다
    • 속성이 중복되거나, id가 중복되지 않도록 한다

태그:

카테고리:

업데이트: